중학교 도덕 시간에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는 말을 처음 배우고 나서는 감탄을 했던 기억이 난다. 그 뒤로는 내가 안다고 말할 만한 주제에 대하여는 나름 깊게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일단 무엇에 대하여 안다고 말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고 믿게 되었다. 반대로 몰라도 된다고 생각하거나, 행동을 하기에 상당히 많은 공부를 해야하는 사항에 대하여는 외면을 하며 살아가게 되었다.
어설프게 단면을 알고 재단하여 이야기하기 보다는, 제대로 알고나서 말을 하고 행동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다보니, 업(業)이 삶과 행동의 대부분이 되었고, 그 외에 대하여는 일자무식한 사람이 되어 버린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의 삶은 단순했다.
그런데 최근 한 10년 좀 안 되는 기간 동안, 사업을 하며 이래저래 여러 정치인을 만나게 될 기회가 있었고, 그 동안 여러 차례의 미국 대선, 한국 대선, 또 최근에 미국과 한국에서 다시금 조명되고 있는 정치적 사안들을 보며 생각이 조금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사업과 가족, 그리고 가끔의 친구 관계라는 비교적 단순해 왔던 삶에 생각할 차원이 하나 더 늘어난 샘이다.
정치라는 단어는 내 삶에 영향을 그 동안 직, 간접적으로 주고 있어 왔지만, 내가 다시 되먹임(feedback)을 함에 있어서는 분명 소홀히 해왔다.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는 범주 내에서의 법을 지키고자 하고, 윤리라는 것에 대하여 실행하려고 하고, 쓰레기 버리지 않고, 세금을 잘 내고, 앞의 전제를 잘 지키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응원하고, 투표를 하는 정도가 나로서의 국민의 의무를 다함의 정의였다.
Continue reading “망가진 민주주의와 다양성의 위기”